기획특집
공모전 달인에게 듣는 공모전 노하우 | |||
---|---|---|---|
지식경제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최한 "제3회 대학(원)생 지식서비스 연구공모전"에서 이지훈(비즈니스IT전공 03), 이재욱(경영학전공 04), 박태원(경영학전공 06) 학생이 대상을 수상하였다. 요즘 많은 학생들이 공모전에 도전하고 있고, 또 해보고 싶어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. 공모전의 달인이나 없는 이들이 어떻게 수상할 수 있었고 비결이 무엇인지 공모전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신해 몇 가지 궁금한 점들을 물어보았다.
Q. 이번 공모전에 어떤 내용으로 출품하게 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.
Q. 대상을 수상하게 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?
Q. 세 사람이 모이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요?
Q. 공모전 팀원들을 구성할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?
Q. 학기 중에 보통 학생들은 학과 공부에 과제에 너무 바쁜데, 어떻게 준비했나요?
Q. 힘들었을 것 같은데, 당장 바쁜 일을 제쳐두고라도 공모전에 전념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?
Q. 공모전을 준비하는 학우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나요?
Q. 아까 재욱 씨가 프레젠테이션을 잘한다고 하셨는데, 프레젠테이션 잘하는 비법은 많은 학우들이 궁금해 할 것 같아요.
Q. 마지막으로 각자 어떤 대학생이 되고 싶은지, 개인의 신념이 궁금합니다.
같이 꿈꾸는 것만큼 세상에서 가치 있는 일이 있을까. 인터뷰 말미 그들은 대학생으로서 진지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갖길 원하는 대학생들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. 또 비슷한 관심 분야를 함께 공부하는 것만큼 서로에게 힘이 되는 것은 없다며 이번 공모전을 준비한 서비스경영연구회에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. 경영대학 김현수 교수님의 지도 하에 있는 학술동아리- 서비스경영연구회의 문은 언제나 활짝 열려있다. 공모전에 관심있고 나와 같은 분야를 공부하는 친구들을 사귀고 싶다면 용기내어 적극적으로 두드려보자. ‘일단 나가서, 잘되든 못되든 끝까지 해보는 것’. 세 사람이 이번 공모전을 통해서 얻은 것도 비단 상 뿐만이 아니라 이런 보이지 않는 자산도 포함하고 있음에 틀림없다.
|